카테고리 없음

Gradle 라이브러리

Kiwisae 2022. 10. 20. 10:21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라이브러리 관리자 타입을 Gradle 3.x 버전으로 선택한다.

2.x, 3.x 두가지 선택지가 있지만 2.x는 현재 사용이 불가하기에 3.x으로 선택했다.

 

 

 

여러 라이브러리를 선택했다.

필요하지 않으면 나중에 주석 처리로 막아버리면 된다.

 

 

 

 

생성된 프로젝트 안에는 webapp 폴더가 생성되어 있지 않다

-> jsp를 사용하지 않고 타임리프를 적극 활용한다.

만약 필요하면 src > main > resources 하위에 생성하여 사용하면 된다.

 

 

 

build.gradle : 그래들의 환경설정 파일

메이븐의 pom.xml 같은 역할을 한다.

 

 

라이브러리를 dependencies 안 쪽 블럭에 추가하면 된다.

의존 라이브러리들은 mvnrepository.com 에서 찾아 추가할 수 있다.

 

 

 

서버를 구동시켜 보았다.

오류가 발생한다.

 

 

 

 

콘솔창에 데이터베이스 쪽 문제라는 메시지가 떠서 mybatis, oracle, mysql을 주석처리하고 다시 실행시켰다.

 

 

 

오라클에서 포트번호 8080을 이미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라클의 포트번호를 변경하거나 아파치 톰캣의 포트번호를 변경해야 한다.

 

 

 

main > src > resources > application.properties 에서 

포트 번호를 80으로 설정했다.

 

 

 

 

이번엔 브라우저가 아닌 스프링부트 앱으로 실행해본다.

 

 

 

 

 

JVM이 정상적으로 구동중이다.

 

 

 

 

탑 레벨 패키지 하위에 controller 폴더를 생성했다.

src > main > java > com > example > demo > controller

여기에 HomeController.java 클래스를 생성했다.

 

 

 

다음과 같이 내용을 작성하고 브라우저에 localhost 라고만 작성해도

return 구문의 메시지가 출력된다.

 

 

 

 

src > main > resources > templates 하위에 뷰 페이지를 생성해본다.

result.html 을 생성했다.

 

 

 

뷰 페이지의 내용을 간단히 작성하고

컨트롤러 파일로 돌아간다.

어노테이션을 RestController에서 Controller로 수정하고

return 구문을 메시지를 바로 브라우저에 출력하지 않고 뷰 페이지로 갈 수 있도록 변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