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션 태그는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를 이동시킬수도 있고, 다른 페이지의 실행결과를

현재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forward 액션 태그

 

페이지의 흐름을 제어할 때 사용 (페이지 이동)

브라우저에 출력되지 않고 지정된 페이지로 바로 이동한다.

 

1. <jsp:forward = "이동할페이지"/>

2. <jsp:forward page = "이동할페이지명"> </jsp:forward>

// 1,2 어떤 것을 써도 상관은 없다.

3. <jsp:forward page = "이동할페이지명 ">
	<jsp: param name = "paramName1" value = "var1 "/>
    	<jsp: param name = "paramName2" value = "var2 "/>
</jsp:forward>

 

3번은 값을 가져가는 형식이다.

 

 

 

 

include 액션 태그

 

페이지를 모듈화 할 때 사용 (페이지 불러오기)

 

1. <jsp:include : include page = "포함될페이지명" flush = "true | false" / >

2. <jsp:include : include page = "포함될페이지명" flush = "true | false" > </jsp : include>

3. <jsp:include : include page = "포함될페이지명" flush = "true | false" / >
	<jsp : param name = "paramName1" value = "var1" />
    <jsp : param name = "paramName2" value = "var2" />
</jsp : include>

 

flush

포함될 페이지로 이동할 때 현재 페이지가 지금까지 출력 버퍼에 저장된 결과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으로,

ture나 false둘 중 하나로 지정한다.

true로 지정시 포함할 페이지의 내용을 삽입하기 이전에 현재 페이지가 지금까지 버퍼에 저장한 내용을 출력.

일반적으로는 false로 지정한다.

 

 

 

page 속성 : 포함할 jsp 페이지

flush 속성 : 지정한 jsp를 실행하기 전 출력 버퍼를 플러시할지 결정. true면 플러시, false면 x (보통 false)

 

 

 

 

 

 

예제를 살펴보았다.

포함하는 페이지 includeMain.jsp와

포함되는 페이지 includeSub.jsp가 어떻게 이루어진 문서인지 살펴보는 예제였다.

 

includeForm.jsp에서 값을 전달하고 includeMain으로 넘어가면,

Main 문서 사이에 Sub을 포함하는 내용이다.

 

 

 

 

 

 

 

 

 

 

 

* 지시어 태그의 include 포함 태그와는 차이가 있다.

다른 문서를 불러온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지시어의 include 포함 태그는 불러오는 문서들을 하나로 병합한다.

 

 

 

 

 

 

 

include 디렉티브태그

 

이 태그를 이용해 다른 문서를 불러오면

불러오는 파일과 불려지는 파일이 한 개의 파일처럼 동작한다.

 

<%@ include file= "포함될페이지명" %>

 

 

 

 

 

 

 

 

include 액션 태그로 프레임을 나눠 만든 페이지

 

 

 

 

top, left, content, bottom의 내용은 별 다른 것이 없다

 

 

 

 

 

templateTest.jsp는 두가지 역할을 한다.

 

1) 레이아웃

2) 상단이나 좌측의 링크를 클릭하면 가운데의 content 영역에 내용을 불러온다.

 

 

 

 

 

 

 

상단의 회사소개, 제품소개에는 별다른 링크가 걸려있지 않은데,

링크를 걸고 content 영역에 불러오는 코드를 추가해본다.

 

 

top.jsp에 링크 설정을 먼저 한다.

파일을 먼저 생성해도 상관이 없고, 링크를 먼저 설정한 후 파일을 생성해도 상관은 없다.

파일명만 정확히 일치하면 된다.

추가하는 김에 메인으로 돌아오는 메뉴인 HOME 도 추가했다.

 

 

 

 

comp_forward.jsp와 goods_forward.jsp를 생성했다.

 

먼저 comp_forward에 내용을 적는다.

레이아웃 templateTest.jsp 의 content 영역에 comp.jsp를 출력한다는 내용의 코드이다.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jsp:forward page="templateTest.jsp">
	<jsp:param name="CONTENTPAGE" value="comp.jsp" />
</jsp:forward>

 

 

 

comp.jsp를 생성해 구분할 수 있도록 내용을 작성한다.

 

 

 

메뉴를 누르면 content 영역의 내용이 바뀐다.

 

 

 

 

같은 방식으로 제품 소개 페이지도 만들어보았다.

 

 

 

 

 

제품소개 링크를 누르면 content 영역의 내용이 바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