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t01 프로젝트 파일을 import 했다.

Finish를 누르면 라이브러리 다운 작업이 진행되고, 완료가 되면

Project Explorer 영역의 아이콘 트리에 나타난 에러 표시가 사라진다.

 

 

 

boot01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스프링 부트 앱을 실행시켜 본다 (단축키 Alt + Shift + X)

 

 

 

 

서버를 중지하고, 이번엔 서버를 실행해 브라우저에 출력해본다.

 

 

 

 

pom.xml 에는 jsp 파일을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와

JSTL 라이브러리를 추가했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두 가지 설정을 했다.

1) 서버 포트

2) view 파일의 경로와 확장자를 지정하는 prefix와 suffix 설정

- "/WEB-INF/views" 는 사용자가 생성한 경로다. 꼭 이 경로를 생성할 필요는 없고, 자유롭게 생성 할 수 있다.

 

 

 

 

컨트롤러의 두 파일을 살펴본다.

 

 

 

index.jsp 는 webapp 폴더 하위에 위치한다.

 

 

 

확장자는 상관없이 값만 일치하면 바로 컨트롤러의 해당 어노테이션을 찾아가 내용을 실행한다.

head 영역의 제이쿼리 change 이벤트 함수를 호출하는데,

sel 변수에 value 값이 저장되어 해당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RestController = @Controller + @ResponseBody

/hi 요청값이 들어오면 브라우저에 값을 즉각 돌려준다.

모든 요청값에 대해 값을 즉각 돌려주도록 설정되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