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pper, lower
upper : 대문자로 변환
lower : 소문자로 변환
txt = 'A lot of Things occur each day.'
result1 = txt.upper()
result2 = txt.lower()
print('result1:', result1)
print('result2:', result2)
2. format
문자열에서 변하는 값을 나타내며, % 기호를 사용한다.
%s | 문자열 출력 (String) |
%c | 문자나 기호 1개 출력 (character) |
%d | 정수 출력 |
%f | 실수 출력 |
%% | '%' 라는 기호 자체를 출력 |
txt1 = '자바'; txt2 = '파이썬'
num1 = 5; num2 = 10
print('나는 %s보다 %s에 더 익숙합니다.' %(txt1, txt2))
print('%s은 %s보다 %d배 더 쉽습니다.' %(txt2, txt1, num1))
print('%d + %d = %d' %(num1, num2, num1+num2))
print('작년 세계 경제 성장율은 전년에 비해 %d%% 포인트 증가했다.' %num1)
3. len
문자열의 길이를 구한다. (자바의 length와 같은 역할)
지금까지 다뤘던 함수들과 사용법이 조금 다르다.
upper같은 경우 변수.upper 의 형태로 사용했지만, len 함수는 len(변수명) 의 형태로 사용한다.
msg = input('임의의 문장을 입력 하세요')
print(type(msg)) # <class 'str'>
len = len(msg)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함(글자수)
print('당신이 입력한 문장의 길이는 ', len,'입니다.')
print('당신이 입력한 문장의 길이는 {}입니다.'.format(len))
print('당신이 입력한 문장의 길이는 %d입니다.'%len)
4. count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개수를 구해준다.
txt = 'A lot of things occur each day, every day.'
count1 = txt.count('o') # 영문 'o'의 갯수 구함
count2 = txt.count('day') # 영문 'day'의 갯수 구함
count3 = txt.count(' ') # 공백의 갯수를 구함
print('count1:', count1)
print('count2:', count2)
print('count3:', count3)
5. find
특정 문자의 인덱스 번호를 구해준다.
txt = 'A lot of things occur each day, every day.'
offset1 = txt.find('e') # 가장 먼저 나오는 'e'의 인덱스 번호를 리턴
offset2 = txt.find('day') # 가장 먼저 나오는 'day'의 인덱스 번호를 리턴
offset3 = txt.find('day', 30) # 인덱스번호 30번 이후에 나오는 'day'의 인덱스 번호를 리턴
offset4 = txt.find('j') # 찾을 문자가 없을 경우에는 -1을 리턴
print('offset1:', offset1)
print('offset2:', offset2)
print('offset3:', offset3)
print('offset4:', offset4)
6. strip
- strip : 문자열 좌측의 공백을 없애준다.
- rstrip : 문자열 우측의 공백을 없애준다.
- stript : 문자열 좌, 우의 공백을 모두 없애준다.
txt = ' 양쪽에 공백이 있는 문자열입니다. '
result1 = txt.lstrip()
result2 = txt.rstrip()
result3 = txt.strip()
print('<'+txt+'>')
print('<'+result1+'>')
print('<'+result2+'>')
print('<'+result3+'>')
7. isdgit
문자인지 숫지인지 판별한다.
만약, 모든 요소가 숫자라면 True를 리턴, 영문자나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False를 리턴한다.
txt1 = '010-1234-5678'
txt2 = 'R2D2'
txt3 = '1212'
result1 = txt1.isdigit()
result2 = txt2.isdigit()
result3 = txt3.isdigit()
print('result1:', result1) # False : 하이픈('-')
print('result2:', result2) # False : 영문 알파벳
print('result3:', result3) # True
8. join
문자열을 특정 문자열을 이용해 결합할 때 사용하는 함수
a = ','
s = 'abcd'
result = a.join(s)
print('result:', result) # a,b,c,d
b = '_'
list = ['사과','배','포도','수박','키위','바나나']
result1 = b.join(list)
print(type(result1)) # <class 'str'>
print('result1:', result1) # 사과_배_포도_수박_키위_바나나
9. split
특정 구분기호로 문자열을 분리해 리스트 형태로 리턴한다.
s = 'Life is too short'
result = s.split(' ') # 공백으로 파싱(parsing)
print(type(result)) # <class 'list'>
print(result) # ['Life', 'is', 'too', 'short']
s1 = 'python:java:oracle:jsp:spring:tensorflow'
result1 = s1.split(':') # 콜론(:)으로 파싱
print(result1) # ['python', 'java', 'oracle', 'jsp', 'spring', 'tensorflow']
for i in result1:
print(i)
10. replace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치환한다.
# replace() :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치환할 때 사용되는 함수
# replace('data1', 'data2') : data1을 data2로 치환
txt = 'My password is 1234'
result1 = txt.replace('1', '0') # '1'을 '0'으로 치환
result2 = txt.replace('1', 'python') # '1'을 'python'으로 치환
print('result1:', result1) # My password is 0234
print('result2:', result2) # My password is python234
11. sorted
문자열을 정렬할때 사용하는 함수.
특정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리스트 형태로 반환한다.
- 오름차순 : sorted (data) - 1,2,3,... a,b,c...
- 내림차순 : sorted (data, reverse=true) - 10,9,8... z,y,x...
strdata = input('정렬할 문자를 입력 하세요?') # python
# 오름차순 정렬
result1 = sorted(strdata)
print(type(result1)) # <class 'list'>
print(result1) # ['h', 'n', 'o', 'p', 't', 'y']
# 내림차순 정렬
result2 = sorted(strdata, reverse= True)
print(type(result2)) # <class 'list'>
print(result2) # ['y', 't', 'p', 'o', 'n', 'h']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제) 피보나치 수열 구하기 (0) | 2022.11.01 |
---|---|
이스케이프 문자 (0) | 2022.10.31 |
str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22.10.28 |
과제 (if-elif-else문 사용, for문 사용) (0) | 2022.10.28 |
파이썬의 제어문 - if, while, for, break, continue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