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와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API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둔 페이지가 따로 없다.
그래서 정리가 잘 된 서적을 찾아보거나 구글링을 열심히 해야 한다.
최상위 객체 Window가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작업은 최상위 객체 Window 안에서 이뤄지게 되는데,
Window는 생략해도 상관이 없다.
브라우저에 문자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코드인
document.write도 사실은 window.document.write 인 것이다.
그러나 생략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을 위해 document.write로 사용을 한다.
Window의 하위 객체로 Doucument, Location, History, Screen, Navigator 등이 있다.
Document의 하위 객체로 Form, Image가 있는데,
이 Form의 하위객체가 바로 html을 공부할 때 많이 사용했던 button, submit, reset, radio, checkbox, select 등이다.
내장 함수
문자->숫자
1) parseInt(실수) -- > 정수
문자형 데이터를 정수형 데이터로 변환한다.
<script>
document.write("문자형 데이터를 정수형 데이터로 변환: "+parseInt(3.14));
</script>
/*대소문자를 구분하니 parseint가 아닌 parseInt로 적어야 기능한다. */
2) parseFloat(실수) -- > 실수
문자형 데이터를 실수형 데이터로 변환한다.
<script>
document.write("문자형 데이터를 실수형 데이터로 변환: "+parseFloat(3.14)+"<br>");
</script>
3) Number(문자) -- > 숫자
문자형 데이터를 숫자형 데이터로 변환한다.
실수 형태의 데이터는 실수로, 정수 형태의 데이터는 정수로 변환한다.
<script>
document.write("문자형 데이터를 숫자형 데이터로 변환: "+Number(3.14)+"<br>");
document.write("문자형 데이터를 숫자형 데이터로 변환: "+Number(3)+"<br>");
</script>
숫자->문자
1) String(숫자) --> 문자
<script>
document.write("숫자형 데이터를 문자형 데이터로 변환: "+String(1000)+"<br>");
document.write("typeof: "+ typeof(1000)+"<br>");
document.write("typeof: "+typeof(String(1000))+"<br>");
</script>
2) eval("10+20") --> 숫자 형태의 연산결과
<script>
document.write("문자형 산술식을 연산수행: "+eval("10+20")+ "<br>");
</script>
3) isNaN() --> Not a Number
숫자가 아니면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 true
문자가 아니면 (숫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 false
<script>
document.write(isNaN("10+20")+"<br>");
document.write(isNaN(10+20));
</script>
'웹표준 >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cation() 객체 (0) | 2022.08.11 |
---|---|
조건문 If, If ~ else, If ~ else if ~ else, switch~case문 (0) | 2022.08.11 |
산술, 확장대입, 증감, 비교, 논리 연산자 (0) | 2022.08.11 |
변수의 자료형과 alert, confirm, prompt, typeof (0) | 2022.08.11 |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0) | 2022.08.10 |